[관광통역안내사 2020 필기시험 리뷰] 관광국사 21~25번

 

[관광통역안내사 2020 필기시험 리뷰] 관광국사 21~25번

 

 

 

안녕하세요 AcousJin입니다! 드디어 국사 마지막시간입니다!

남은 문제들이 기대되시죠? 어서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본 문제는 한국산업인력공단의 승인을 받고 게시하는 글로써 아래 링크를 통해 문제지를 다운로드 하실수 있습니다.

2020년도 관광통역안내사 시험문제지(1교시)A형으로 받아주세요!

www.q-net.or.kr/cst003.do?id=cst00309&gSite=L&gId=37

 

시험자료실 목록 | Q-net

 

www.q-net.or.kr

 

 

21. 신라 하대의 정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백제의 침탈로 대야성이 함락되었다. 
② 왕위 계승 문제로 김헌창이 봉기를 일으켰다. 
③ 성주와 장군이라 칭하는 호족세력이 늘어났다. 
④ 6두품 세력을 중심으로 골품제에 대한 불만이 높아졌다. 

정답 ①

해설 신라 하대 정세 이해

신라가 후삼국시대로 넘어가기전에 일어난 사건을 살펴보는건데

②번은 김헌창의 난으로 822년(헌덕왕 14)에 일어난 사건입니다
③번과 ④번 역시 신라 하대에 일어난 현상들입니다.

①번은 642년(신라 선덕여왕 11, 백제 의자왕 2) 벌어진 대야성 전투를 얘기합니다.

의자왕이 왕위에 오른이후 신라 서쪽 40여개의 성을 함락시키며 기세를 올리는중에 
대야성(지금의 합천지역)까지 함락시켜 서라벌 턱밑까지 밀고 들어간 일입니다.

삼국통일 이전에 벌어진 일이므로 신라 하대에 벌어진 일과는 거리가 있습니다.

(+ 개인적인 의견이지만 후백제 역시 대야성을 함락시킨적이 있는데 
역사학계는 구분을 위해서 후백제라는 표현을 사용했지 
당시에는 실제 백제라는 명칭을 사용해서 이런 관점으로 접근한다면 이역시 맞는 설명이 되지 않을까 합니다)

22. 조선시대 삼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관리의 비리를 감찰하였다. ② 국왕에게 정책을 간언하였다. 
③ 국왕에게 학문적 자문을 하였다. ④ 삼사는 사헌부, 사간원, 승정원을 말한다. 

정답 ④

해설 조선시대 삼사 이해

조선시대 삼사에 대한 설명인데 삼사는 관리의 비리를 감찰(사헌부)하고, 국왕에게 정책을 간언(사간원)하고 
국왕에게 학문적 자문(홍문관)을 해주었습니다. ①~③번에 대한 설명인데, 조선시대 삼사는 사헌부, 사간원, 홍문관으로 구성되어있습니다.
이에 정답은 ④번이 됩니다.

23. 병자호란의 결과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청나라에 많은 양의 조공을 바쳤다. 
② 청나라를 정벌하자는 북벌운동이 대두되었다. 
③ 4군과 6진을 설치하여 북방 영토를 확장하였다. 
④ 청나라와 군신관계를 맺고 세자와 백성들이 포로로 끌려갔다. 

정답 ③

해설 병자호란의 영향 이해

병자호란은 1636년 (인조 14) 청나라가 조선에 정묘호란에 이어 두번째로 침입한 전쟁입니다.
삼전도의 굴욕으로 청나라와 군신관계를 맺고 끝난 사건이죠 

승패가 명확한 전쟁은 진쪽이 이긴쪽에 배상을 해야하는게 진리인 지라
①, ④번의 결과가 야기되었고 청나라 군대가 물러난 뒤에 명나라에 대한 사대주의로 북벌론이 대두되었습니다.
이는 ②번에 대한 설명입니다.

③번은 세종대왕시기 북진정책으로 4군 6진을 설치한 것으로 병자호란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24. 통일신라의 불교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의상이 화엄 사상을 정립하였다. 
② 이차돈의 순교로 불교를 공인하였다. 
③ 담징이 법륭사 금당에 벽화를 남겼다. 
④ 노리사치계가 일본에 불경과 불상을 전하였다. 

정답 ①

해설 시대별 불교 이해

① 의상대사는 신라에서 화엄종을 개조한 승려입니다. 바로 정답나왔네요
② 이차돈의 순교는 법흥왕이 재위중이었던 527년 통일신라시기가 아닌 삼국시대에 일어납니다.
③ 담징은 고구려의 승려이고 법륭사(일본소재) 금당벽화제작의 정확한 시기는 전해지지 않지만 
담징스님이 631년(영류왕 14)에 사망했기 때문에 나라도 시기도 맞지 않네요
④ 노리사치계는 백제 성왕시기 일본에 처음으로 불교를 전파한 백제의 승려입니다. 역시 나라도 시기도 맞지 않습니다.

25. 다음 내용과 관련된 국왕은? 

○ 속대전을 반포하였다. 
○ 증수무원록을 간행하였다. 
○ 낙형, 압슬형, 주리형 등 고문을 폐지하였다. 

① 숙종 ② 영조 ③ 정조 ④ 고종 

정답 ②

해설 조선시대별 왕들의 업적 이해

위 제시된 내용을 살펴보면 속대전, 증수무원록, 고문폐지를 알수 있는데 이와 연관된 왕은 영조 입니다.

속대전은 1746년(영조 22)에 편찬된 법전이구요
증수무원록은 1748년(영조 24) 무원록을 증보해 편찬한 법의학서 입니다
그리고 1749년(영조 25) 영조가 반란이나 임금모욕을 제외하고 국문장에서 고문을 못하게 합니다.

보기에 나온 다른 왕들의 업적도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숙종 - 대동법 적용지역 확대, 상평통보 발행, 오군영 체제 확립, 탕평책 실시, 통신사 파견
정조 - 규장각 설치, 탕평책 계승, 화성축조, 다방면의 개혁정책 시행
고종 - 대한제국으로 황제국 선포 및 광무개혁 실시

 

 

드디어 관광국사 모든 문제들을 풀어봤습니다 ㅎㅎㅎ

다음시간부터는 관광자원해설 문제들을 풀어보도록 하겠습니다 :)

posted by MiZon
:

[관광통역안내사 2020 필기시험 리뷰] 관광국사 16~20번

 

 

 

[관광통역안내사 2020 필기시험 리뷰] 관광국사 16~20번

 

 

 

 

안녕하세요 AcousJin입니다. 어느덧 관광국사 16번 문제를 풀 차례가 왔습니다. 

각자 느끼는 난이도는 다르겠지만 잘 준비하면서 합격을 준비합시다 ㅎㅎ

 

자 16번 문제로 들어가시죠~

 

* 본 문제는 한국산업인력공단의 승인을 받고 게시하는 글로써 아래 링크를 통해 문제지를 다운로드 하실수 있습니다.

2020년도 관광통역안내사 시험문제지(1교시)A형으로 받아주세요!

www.q-net.or.kr/cst003.do?id=cst00309&gSite=L&gId=37

 

시험자료실 목록 | Q-net

 

www.q-net.or.kr

16. 발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발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왕족은 고씨를비롯한 5부 출신의 귀족이었다. 
② 유력 집단의 우두머리는 이사금으로 추대되었다. 
③ 고구려 유민과 말갈집단이 지린성동모산에서 건국하였다. 
④ 소국들이 독자적인 정치 기반을 유지하는 연맹왕국이었다. 

정답 ③

해설 발해에 대한 이해

발해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문제는 꼭 1문제씩 나오니 놓치지 마시길 바랍니다

① 발해의 왕족은 대씨입니다.
② 이사금은 신라 군주의 명칭중 하나입니다.
③ 대조영이 고구려 유민과 말갈 집단과 함께 동모산에서 발해를 건국했습니다. 
④ 연맹왕국형태의 나라는 가야를 얘기합니다.

17. 해방 전후 국제 회담을 시대 순으로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ㄱ. 얄타 회담 ㄴ. 카이로 회담 
ㄷ. 포츠담 회담 ㄹ. 모스크바 삼국 외상회의 

① ㄱ → ㄴ → ㄹ → ㄷ ② ㄱ → ㄷ → ㄴ → ㄹ 
③ ㄴ → ㄱ → ㄷ → ㄹ ④ ㄴ → ㄹ → ㄱ → ㄷ

정답 ③

해설 현대사 국제 회담 이해

각 회담의 시기와 성격을 알아보면 

ㄱ. 얄타회담은 1945년 2월 제2차 세계대전 전후처리 놓고 의견을 나눈 회담입니다
ㄴ. 카이로 회담은 1943년 11월 일본에 대한 대응 문제를 놓고 의견을 나눈 회담인데 여기서 한국의 광복을 의제로 다룬 회담이기도 합니다.
ㄷ. 포츠담 회담은 1945년 7월 전후처리를 놓고 나는 회담인데 여기서 일본의 무조건 항복과 한국의 독립을 담은 포츠담 선언을 발표합니다. 일본은 처음엔 거부했지만 원폭투하로 결국 항복선언을 하게되고 한국은 광복을 맞이하게됩니다.
ㄹ. 모스크바 삼국 외상회의는 1945년 12월 한반도 신탁통치에 대한 내용을 의제로 삼았습니다.

시기순으로 나열하면 ㄴ → ㄱ → ㄷ → ㄹ이 됩니다 

18. 다음 내용과 관련된 개혁은? 

○ ‘구본신참’을 개혁의 기본 방향으로 설정하였다. 
○ 대한국 국제를 반포하여 자주 독립국가임을 선포하였다. 
○ 강력한 황제권을 기반으로 근대 국가 수립을 지향하였다. 

① 갑신개혁 
② 갑오개혁 
③ 을미개혁 
④ 광무개혁 

정답 ④

해설 개화기 개혁정책 이해

구본신참, 대한국 국제, 강력한 황제권 기반은
 제후국이었던 조선이 자주적 황제국인 대한제국으로 거듭나려고 했던 광무개혁(1897년)의 주 모토입니다.
여기서 광무는 대한제국의 연호이기도 합니다. 

개혁을 하더라도 고종황제를 중심으로 위로부터의 개혁을 추진했던 것이죠

그외 보기에 나온 다른 개혁을 살펴본다면

① 갑신개혁(1884) - 개화파 주도로 갑신정변을 통해 수구파를 몰아내면서 시도했던 개혁이었으나 3일만에 실패로 끝납니다.
② 갑오개혁(1894) - 갑오경장이라고도 하며 3차에 걸쳐 진행되었는데 3차 갑오개혁은 을미개혁이라고도 합니다. 
청일전쟁에서 승리한 일본이 조선에 대한 내정개혁을 요구하였고 김홍집을 위주로 구성된 친일내각이 갑오개혁을 단행합니다. 
주요 내용은 과거제 폐지와 신분제 폐지를 들 수 있습니다.  
 을미개혁(1895) - 3차 갑오개혁이라고도 합니다. 주요내용은 단발령과 일본식 제도 도입이었습니다.

19. 밑줄 친 ‘이 기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선조 26년(1593) 국왕의 행차가 서울로 돌아왔으나 성 안은 타다 남은 건물 
잔해와 시체로 가득했다. 선조는 '이 기구'를 설치하여 군사를 훈련시키라고 
명하였다. 이에 유성룡이 주도하여 명나라의 기효신서를 참고하여 훈련법을 
습득하고 조직을 갖추었다. 

① 군병은 스스로 비용을 부담하였다. 
② 정토군이 편성되어 여진의 침입에 대비하였다. 
③ 부대 편성은 삼수군인 포수, 사수, 살수로 하였다. 
④ 서울에 내영, 수원에 외영을 두어 국왕의 친위를 담당하였다. 

정답 ③

해설 시기별 조선의 군사제도 이해

선조 26년(1593)이라는 언급이 있는것으로 봐서는 임진왜란중이라는걸 먼저 이해해야합니다.
그 중간에 설치한 군사기구는 훈련도감이라는 것이 자연스레 떠올랐으면 쉽게 문제를 풀었을것

①번은 스스로 비용을 부담하는건 선무군관포 제도로 영조시기에 시행된 제도입니다.
②번은 초기 비변사가 설치되었을때 일입니다.
④번은 정조시기 설치된 장용영을 설명하는 내용입니다.

20. 신간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전국 140여 곳에 지회를 설립하였다. 
② 비타협적 민족주의자들과 사회주의자들이 연합하였다. 
③ 창립 초기 회장에 이상재, 부회장에 홍명희를 선출하였다. 
④ 신채호가 작성한 조선 혁명선언을 노선과 강령으로 삼았다. 

정답 ④

해설 신간회에 대한 이해

신간회는 관통사 시험문제에 단골로 출제되는 단체입니다. 꼭 공부를 해두셔야겠죠?

신간회는 1920년대 후반 좌익 우익세력들이 연합해서 결성한 항일 단체입니다.

①~③번은 맞는 설명인데 ④번을 보시면 신채호가 신간회에서 활동한것은 맞는데
조선 혁명선언은 1923년 신채호가 의열단에 있을때 만든것이기 때문에 틀린 설명이 됩니다.

참고로 의열단은 1919년 만주 지린성에서 조직된 항일 무력독립운동 단체입니다

 

 

이제 다음시간은 관광국사 마지막시간입니다. 남은 문제들은 어떤문제들일지 기대해보면서

다음시간에 만나요~

posted by MiZon
:

[관광통역안내사 2020 필기시험 리뷰] 관광국사 11~15번

[관광통역안내사 2020 필기시험 리뷰] 관광국사 11~15번

 

 

 

안녕하세요 AcousJin입니다. 벌써 국사도 절반을 지나가고 있네요 ㅎㅎ 

 

국사문제는 다른 과목에 비해 점수 비중이 높기 때문에 1문제 1문제가 소중하답니다.

 

1문제라도 더 맞추기 위해 파이팅 합시다!

 

자 바로 11번문제로 넘어갑시다~

 

 

* 본 문제는 한국산업인력공단의 승인을 받고 게시하는 글로써 아래 링크를 통해 문제지를 다운로드 하실수 있습니다.

2020년도 관광통역안내사 시험문제지(1교시)A형으로 받아주세요!

www.q-net.or.kr/cst003.do?id=cst00309&gSite=L&gId=37

 

시험자료실 목록 | Q-net

 

www.q-net.or.kr

 

 

 

 

 

 

 

11. 고려시대 사회상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태어난 차례대로 호적에 기재하여 남녀차별을 하지 않았다. 
ㄴ. 사위와 외손자까지 음서의 혜택이 있었다. 
ㄷ. 혼인 후에 곧바로 남자 집에서 생활하는 경우가 많았다. 
ㄹ. 동족마을이 만들어지고 문중을 중심으로 서원과 사우가 세워졌다. 

① ㄱ , ㄴ ② ㄱ , ㄹ ③ ㄴ , ㄷ ④ ㄷ , ㄹ 

정답 ①

해설 고려시대 사회상 이해

고려시대는 조선시대에 비해 비교적 양성평등한 시대였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ㄱ은 맞는설명, ㄷ은 틀린 설명이 되겠구요.
음서의 범위가 조선시대보다 넓은 편이라 사위와 외손자까지도 음서의 혜택이 있었습니다.
따라서 ㄴ도 맞는설명이 되겠네요
ㄹ에서 말하는 사우는 선조나 선현의 신주나 영정을 모셔두고 배향하는 곳으로 고려말에 처음 세워지긴 했으나 
서원은 조선중기에 처음 세워졌으므로 틀린 설명이 됩니다.

12. 조선 전기 과학기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① 천체관측기구인 혼의와 간의를 만들었다 . 
② 상정고금예문을 금속 활자로 인쇄하였다 . 
③ 토지측량기구인 앙부일구와 자격루를 제작하였다 . 
④ 질병처방과 국산약재가 소개된 향약구급방이 편찬되었다 . 

정답 ①

해설 조선 전기 과학기술 이해

① 혼의와 간의는 세종시기 설치된 천문관측기구입니다. 바로 정답 나왔네요
② 상정고금예문은 고려시대에 발간된 책입니다.
③ 앙부일구와 자격루는 조선전기에 제작되긴 했으나 토지측량기구가 아니라 시계로써 역할을 했던 기구입니다.
토지측량기구로는 인지의, 규형등이 있습니다.
④ 향약구급방은 고려시대 편찬된 의서입니다. 

13. 7 세기 고구려 정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장수왕이 수도를 평양으로 천도하였다 
② 연개소문이 정변을 통해 권력을 장악하였다 . 
③ 고구려가 나ㆍ당연합군의 침입으로 멸망하였다 . 
④ 을지문덕이 살수에서 수나라의 군대를 물리쳤다 . 

정답 ①

해설 고구려 시기별 사건 이해

7세기라 하면 601~700년을 의미하는건데 그사이에 일어나지 않은 걸 고르면 되겠네요

① 장수왕의 평양천도는 427년에 이뤄지는데 5세기로 바로 정답 나왔습니다.
② 연개소문이 일으킨 정변은 막리지의 난이라고도 하는데 642년에 일으켰으므로 맞는 설명이구요
③ 고구려 멸망은 668년에 일어났습니다.
④ 살수대첩은 612년에 일어났습니다.

14. 다음 중 신라시대에 조성된 탑을 모두 고른 것은 ? 

ㄱ . 황룡사 9 층 목탑 
ㄷ . 정림사지 5 층 석탑 
ㄴ . 미륵사지 석탑 
ㄹ . 분황사 모전 석탑 

① ㄱ , ㄴ ② ㄱ , ㄹ ③ ㄴ , ㄷ ④ ㄷ , ㄹ 

가답안 정답 ②

최종정답 ①,②,③,

해설 신라시대 탑 구분

ㄱ. 황룡사 9층 목탑은 643년 신라 선덕여왕시기에 조성되었습니다.
ㄴ. 미륵사지 석탑은 639년 백제 무왕시기에 조성되었습니다.
ㄷ. 정림사지 5층 석탑은 부여백제시기에 조성되었습니다.
ㄹ. 분황사 모전 석탑은 634년 신라 선덕여왕시기에 조성되었습니다.

 

신라의 탑이 바로 두곳 보이죠? ㅎㅎ

 

+ 최종정답은 모두 정답처리를 했습니다. 공식적인 이유는 발표하지 않았지만 곰곰히 생각해보면 신라시대라는 표현을 쓴것 보니 신라시대랑 백제시대는 어떻게보면 삼국시대로 겹치니까 문항에 오류를 제기한것이 받아들여지지 않았나 싶습니다. 차라리 신라의 탑 이렇게 얘기했다면 문제 오류가 좀 적어졌을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15. 다음 내용과 관련된 신라의 국왕은 ? 

○ 성골 출신으로 왕위에 올랐다 . 
○ 천문대로 추정되는 첨성대를 세웠다 . 
○ 자장법사를 당나라에 보내 불법을 구하였다 . 

① 진성여왕 ② 진덕여왕 ③ 선덕여왕 ④ 태종무열왕 

정답 ③

해설 신라 왕별 업적 이해

성골, 첨성대, 자장법사 하면 선덕여왕을 떠올리시면 됩니다. 
황룡사 9층 목탑을 선덕여왕에게 건의한 사람이 자장법사입니다.
그외 보기에 나온 왕들도 알아보면

① 진성여왕은 삼대목을 편찬했고, 효녀 지은 설화, 원종 애노의 난과 같은 사건이 있었습니다.
② 진덕여왕은 중앙집권체제를 확립해 신라가 삼국통일하는데 기반을 닦았습니다.  
④ 태종무열왕은 당나라와 연합해 백제를 멸망시킨 업적이 있습니다.

2018년 관광통역안내사 국사 문제중 선덕여왕과 관련된 문제가 있었는데 
올해는 선덕여왕과 관련된 문제가 2문제나 나왔네요 
14번 문제에 나온 탑들도 다 선덕여왕때 조성된 탑이라서 
사실상 14번 문제도 선덕여왕과 관련된 문제라 봐도 무방하다는 생각입니다.

 

벌써 관광국사가 절반이 지났는데 남은 10문제도 빨리 확인하고 관광자원해설로 넘어가야겠죠? ㅎㅎ 

 

그럼 다음시간에 뵙겠습니다!

 

posted by MiZon
:

[관광통역안내사 2020 필기시험 리뷰] 관광국사 6~10번

[관광통역안내사 2020 필기시험 리뷰] 관광국사 6~10번

 

안녕하세요 AcousJin입니다~!

 

지난시간에는 관광국사 1~5번 문제를 확인했는데요 이번시간에는 6~10번 문제를 확인할 시간입니다.

 

어떤 문제들로 여러분을 찾아왔을지 한번 바로 보도록 하겠습니다!!

 

 

* 본 문제는 한국산업인력공단의 승인을 받고 게시하는 글로써 아래 링크를 통해 문제지를 다운로드 하실수 있습니다.

2020년도 관광통역안내사 시험문제지(1교시)A형으로 받아주세요!

http://www.q-net.or.kr/cst003.do?id=cst00309&gSite=L&gId=37

 

시험자료실 목록 | Q-net

 

www.q-net.or.kr

 

 

6. ( )에 들어갈 내용이 올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 )에 들어갈 내용이 올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고려의 독자성을 보여주는 중앙 정치기구로 ( ㄱ )는(은) 대외적으로 국방과 
군사 문제를 담당했으며, ( ㄴ )는(은) 대내적으로 법률과 격식 제정을 담당하 
였다. 

① ㄱ: 비변사, ㄴ: 도병마사 ② ㄱ: 도병마사, ㄴ: 식목도감 
③ ㄱ: 상서도성, ㄴ: 교정도감 ④ ㄱ: 식목도감, ㄴ: 상서도성 

정답 ②

해설 고려시대 독자적 정치기구 이해

고려 정치기구는 당나라 3성6부제를 고려 상황에 맞게 2성6부제로 운영합니다. 
그런데 여기서 추가로 독자적인 정치기구를 설치하는데요 바로 도병마사와 식목도감입니다

다른 보기를 살펴보면

비변사는 조선시대 임시 국방 회의기구로 시작해 점점 역할이 커지다 고종 흥선대원군 집정시기 축소.폐지시킵니다.
상서도성은 상서성에 속한 상서6부의 상층관서인데 실질적으로 상부로서의 영향력은 크게 없었다고 합니다.
교정도감은 무신정권기 정치기구중 하나입니다.

7. 조선 전기 문화상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판소리와 탈놀이가 성행하여 서민문화가 발달하였다. 
② 원과 아라비아 역법을 참고하여 칠정산을 편찬하였다. 
③ 중인층의 시인들이 시사를 조직하여 문학 활동을 전개하였다. 
④ 시조 형식을 벗어나 글자 수를 길게 늘여 쓴 사설시조가 유행하였다. 

정답 ②

해설 조선 전기 문화와 후기 문화 비교

① 판소리와 탈놀이는 17세기부터 성행하기 시작했기 때문에 조선 후기에 대한 설명이고
② 칠정산은 1444년 세종시기에 편찬한것이라 조선 전기 문화에 해당됩니다. 이게 정답이 되겠네요
③ 중인들이 시사를 조직해서 문학 활동을 전개한것 역시 조선 후기에 대한 설명이고
④ 사설시조 역시 조선 후기 문화 현상입니다

8. 고려시대 토지제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불교 사찰에는 사원전을 지급하였다. 
② 공음전은 자손에게 세습할 수 있었다. 
③ 문종 때에는 토지 지급 대상을 현직 관료로 제한하였다. 
④ 하급관리의 자제 중 관직에 오르지 못한 사람에게 외역전을 지급하였다. 

정답 ④

해설 고려시대 토지제도 이해

① 사원전은 불교사찰에 지급된 토지로 그만큼 려가 불교를 중시했다는것으로 이해할수 있겠구요
② 공음전은 5품 이상 관리에게 지급했는데 세습이 가능했습니다. 옳은 설명이구요
③ 문종때 전시과제도를 경정전시과로 정비하는데 주요내용은 수조지 부족으로 현직관료에게만 토지를 지급하게 됩니다.
④ 하급관리의 자제 중 관직에 오르지 못한 사람에게 지급한 토지는 한인전입니다. 관인신분 세습을 목적으로 한 토지입니다


외역전은 향리, 호장 등 지방관리에게 지급인데 역시 세습이 가능했습니다.

그 외 고려시대 토지들을 공유해드리니 같이 공부하시면 도움이 될겁니다

구분전:하급 관료와 군인의 유가족에게 지급(생활 대책 마련)
군인전:중앙군(2군·6위)에게 군역의 대가로 지급, 군역이 세습됨에 따라 자손에게 세습
내장전:왕실의 경비를 충당하기 위하여 지급
공신전:공신들에게 지급
공해전:중앙과 지방의 관청에 지급되어 경비를 충당
별사전:승려, 지리업 종사자에게 지급
민전(民田):일반 백성의 사유지로서 매매, 상속, 기증, 임대 등이 가능. 전시과와 함께 고려 토지 제도의 근간. 농민에게 수확의 1/10 을 징수(공전, 公田)


9. 대동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가호를 단위로 공물을 부과하였다. 
② 방납의 폐단을 개선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③ 현물 대신 쌀, 면포, 동전 등으로 납부하였다. 
④ 경기도에서 시험적으로 시행하고 점차 확대되었다. 

정답 ①

해설 대동법에 대한 이해

대동법은 조선시대 납세 제도로 공물을 쌀로 통일해서 거두는 방식입니다.

보기 ②~④는 맞는설명인데

① 가호 단위에서 토지 1결 단위로 부과기준이 대동법에서 바뀝니다.
③번 같은 경우는 산간지방이나 불가피한 경우 베,무명,돈으로 대납이 가능했다는 기록이 있기때문에 혼동이 오시면 안됩니다.


10. 조선시대 관리 등용 제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소과는 무과 시험의 예비 시험이었다. 
② 기술관을 뽑는 잡과는 분야별로 합격 정원이 있었다. 
③ 제술과는 유교 경전에 대한 이해 능력을 시험하였다. 
④ 5품 이상 관료의 자손은 과거를 거치지 않고 관료가 될 수 있었다. 

정답 ②

해설 조선시대 관리 등용제도 이해

① 소과는 문과의 시험 종류중 하나입니다. 
조선시대 과거시험은 문과와 무과로 나뉘고 이중 문과는 대과와 소과로 나뉘고 소과는 또 초시와 복시로 나뉩니다.
② 잡과는 분야(역과-외국어, 율과-법률, 의과-의술, 음양과-천문학)별로 합격정원이 있었습니다. 기록에 따르면 초시는 111명이고 복시는 46명입니다.
③ 제술과는 소과의 한 분과로 진사과라고 하는데 문학과 관련한 영역에서 시험문제를 냈습니다.
참고로 유교 경전에 대한 이해능력을 시험한 분과는 생원과입니다.
④ 위 제도는 음서제도인데 고려시대때는 5품이상이었지만 조선시대때는 공신이나 2품이상관의 아들,손자,사위,동생,조카 그리고 실직 3품관의 자손으로 범위가 좁혀졌습니다.

 

 

벌써 10문제를 풀었네요 ㅋㅋㅋ 빨리 다음문제들을 만나보고 싶죠? 조금만 기다리세요~ 

다음시간에 11~15번 문제로 여러분께 찾아올테니까요 ㅎㅎ

 

그럼 다음시간에 뵙겠습니다~!

posted by MiZon
:

[관광통역안내사 2020 필기시험 리뷰] 관광국사 1~5번

 

[관광통역안내사 2020 필기시험 리뷰] 관광국사 1~5번

 

안녕하세요  AcousJin입니다. 드디어 2020 관광통역안내사 필기시험 리뷰를 시작하게 되었네요 ㅋㅋㅋ

더 빠른시일안으로 시작했어야 했는데 아쉬울 따름입니다.

 

문제는 순서대로 1교시 과목인 관광국사 1번부터 시작하도록 하겠습니다. 

 

준비하시고 가시죠~

 

* 본 문제는 한국산업인력공단의 승인을 받고 게시하는 글로써 아래 링크를 통해 문제지를 다운로드 하실수 있습니다.

2020년도 관광통역안내사 시험문제지(1교시)A형으로 받아주세요!

http://www.q-net.or.kr/cst003.do?id=cst00309&gSite=L&gId=37

 

시험자료실 목록 | Q-net

 

www.q-net.or.kr

 

1. 다음 나라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동예는 족외혼을 엄격하게 지켰다. 
② 삼한에는 제사장인 천군이 소도를 다스렸다. 
③ 옥저의 특산물로는 과하마, 단궁, 반어피가 있었다. 
④ 부여에는 12월에 열리는 영고라는 제천행사가 있었다. 

정답 ③ 

해설 원삼국시기 국가들의 특징 

③ 옥저의 특산물은 소금과 해산물입니다
과하마, 반궁, 반어피는 동예의 특산물입니다

원삼국 시기 제천행사를 살펴보면
동예 - 무천(10월), 부여 - 영고(12월), 고구려 - 동맹(10월), 삼한 - 5월제, 10월제를 기억해두시면 좋습니다

2. 고조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기원전 108년 왕검성이 함락되어 고조선이 멸망하였다. 
② 기원전 194년 위만은 우거왕을 몰아내고 스스로 왕이 되었다. 
③ 기원전 3세기경에는 왕 밑에 상, 대부, 장군 등의 관직을 두었다. 
④ 진․한교체기에 위만은 1천여 명의 무리를 이끌고 고조선으로 들어왔다. 

정답 ②

해설 고조선 시기중 단군조선과 위만조선에 관한 설명

(TMI 예전에 고조선을 단군조선, 기자조선, 위만조선으로 나눴으나 현대 사학계에서는 기자조선을 부정하는 추세입니다. )

② 위만은 준왕을 몰아내고 왕위에 올랐으며, 우거왕은 고조선의 마지막 왕이기 때문에 옳지 않은 설명이 됩니다.

3. 다음 ( )에 들어갈 인물로 옳은 것은? 

고려 무신 정권기 ( )는(은) 자기 집에 정방을 설치하여 관직에 대한 인사 
권을 장악하고, 서방을 설치하여 문신들을 교대로 숙위하도록 하였다. 

① 최우 ② 최항 ③ 정중부 ④ 최충헌 

정답 ①

해설 무신정권 시기 권력기구 이해

지문을 통해 알 수 있는 사실은
정방은 무신정권시기 교정도감과 함께 최고 권력기구 역할을 해왔습니다
그리고 서방은 숙위(숙직하면서 지킴)와 문한(글 짓기와 관련된 일)을 담당하는 기구인데 문신들을 주로 서방에 편성했습니다.

그렇게 무신위주로 편성한 도방, 문신위주로 편성한 서방, 인사행정을 논의하던 정방, 국정을 논하던 교정도감 등을 설치/장악하면서

사실상 왕 타이틀만 안달았지 고려의 모든 영역을 장악하게 됩니다

그리고 보기별로 집권시기와 최고 권력기구를 간단하게 비교해보면

① 최우 1219~1249 / 교정도감.정방
② 최항 1249~1257 / 교정도감.정방
③ 정중부 1174~1179 / 중방
④ 최충헌 1196~1219 / 교정도감

여기서 알 수있는 사실은 정방은 최우 시기와 최항 시기에 있었던 최고 권력기구인데
최항은 최우의 아들인데다, 서방은 1227년 최우가 설치했기 때문에 정답은 ①번이 됩니다

4. 단군의 건국에 관한 기록이 나타난 문헌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동국여지승람 ② 삼국유사 ③ 제왕운기 ④ 삼국사기 

정답 ④

해설 역사문헌비교

각 보기별 문헌의 제작시기와 저자, 성격을 살펴보면

① 동국여지승람 1481(조선 성종 12) / 노사신, 양성지, 강희맹 / 각 도의 지리, 풍속, 인물 등을 자세하게 기록한 지리서, 단군에 대한 내용 포함, 독도가 우리땅이라는것을 증명하는 사료 중 하나입니다
② 삼국유사 1281~1283(고려 충렬왕 7~9) / 일연 / 고구려, 백제, 신라 3국의 전해져오는 이야기를 모은 역사서, 고조선 시기도 저술해서 단군을 국조(國祖)로 받들었습니다
③ 제왕운기 1287 (고려 충렬왕 13) / 이승휴 / 7언시와 5언시로 지은 역사서, 상권은 중국사, 하권은 한국사로 저술, 단군에 대한 내용이 있음, 발해를 고구려의 계승국으로 확인하면서 발해가 우리역사라는 인식을 가졌다는걸 확인 할 수있습니다
④ 삼국사기 1145 (고려 인종 23) / 김부식 / 삼국의 내용을 담은 역사서, 기전체로 서술, 2018년에 보물에서 국보로 승격되었습니다

삼국사기에는 단군 관련 내용이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5. 조선시대 교육기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서원에서는 봄과 가을에 향음주례를 지냈다. 
② 성균관에는 존경각이라 불리는 도서관이 있었다. 
③ 향교는 부ㆍ목ㆍ군ㆍ현에 각각 하나씩 설치되었다. 
④ 사부학당은 전국적으로 동학, 서학, 남학, 북학이 있었다. 

정답 ④

해설 조선시대 공립/사립 교육기관 비교

①~③번은 옳은 설명인데
④번 사부학당은 성종시기부터 경국대전을 통해 조선시대 중앙(한성부)의 4부에 법제화되어 설치한 관립교육기관입니다.
그런데 보기에 서술된 전국적이라는 설명부터 틀린설명이 되고 4부학당도 북학이 아니라 중학입니다. 
참고로 북학은 경국대전으로 법제화 되기전 세종시기에 폐지되었습니다.

 

 

국사 첫시간이었는데 어떠셨나요? ㅎㅎ 슬슬 감이 살아나셨으면 좋겠습니다.

 

그러면 기대하는 마음으로 다음시간에는 6~10번 문제를 만나보겠습니다~

 

 

 

 

posted by MiZon
:

관광통역안내사 필기시험 1교시 간단 분석

 

 

 

안녕하세요 AcousJin 입니다.

 

올해도 어김없이 관광통역안내사 리뷰로 다시 찾아왔습니다. 

 

연재중인 대만여행 Memory도 계속 준비하고 있으니 잊지 말고 예쁘게 봐주시구요 ㅋㅋ

 

2020년 9월 5일 관광통역안내사 필기시험이 코로나19사태에도 무사히 치뤄졌습니다. 

 

그래서 이번시간부터 2020년 필기시험에 대한 리뷰를 여러분께 보여드리려합니다.

 

특별히 이번에는 한국산업인력관리공단에 허락을 얻고 문제전체 내용과 답 그리고 해설영상까지 여러분께 제공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와우~~~~ ㅋㅋ 

 

자 그러면 본격적으로 시작하기전에 각 시험문제가 전체적으로 어떻게 나왔는지 잠깐 짚고 넘어가겠습니다.

 

관광통역안내사 필기시험이 어떻게 진행되는지 궁금하신 분은 먼저 2019년 리뷰글을 보시고 다시 와주세요~ 

 

[관광통역안내사 2019 필기시험 리뷰] 관광통역안내사란?
https://mizon22c.tistory.com/120?category=814418

 

[관광통역안내사 2019 필기시험 리뷰] 관광통역안내사란?

안녕하세요 AcousJin 입니다. 오늘부터 지난 9월 7일에 있었던 관광통역안내사 필기시험에 대해 리뷰해보고자 합니다. 리뷰에 앞서 관광통역안내사와 필기시험에 대해 간략히 알아보도록 하겠습��

mizon22c.tistory.com

 

먼저 1교시 국사와 관광자원해설부터 보겠습니다.

 

제가 짚은 포인트들인데요 

 

국사를 먼저 보면

 

1 2019년 시험은 대체로 시대 흐름대로 문제 순서가 배치되었는데 올해는 순서가 시대 흐름과 상관없이 무작위로 배치되었다는것입니다.


2 시기별로 보면 (중복 포함)

선사시대(고조선제외) (0)
고조선(2) 2 4
원삼국(1) 1
삼국(3) 13 14 15 24
남북국(통일신라)(2) 21 24
남북국(발해)(1) 16
고려(5) 3 4 6 8 11
조선(12) 4 5 7 9 10 12 18 19 20 22 23 25
일제강점기(1) 17 
현대사(1) 17

 

위와같이 나왔습니다.

 

3 단골로 출제되던 선사시대 관련 문제가 없었습니다 (구석기, 신석기, 청동기 유물 및 유적지 관련 문제가 없었음)
4 그리고 작년에 비해 조선시대 문제 비중이 늘어났다는것도 알 수 있습니다. (2019년 9개 -> 2020년 12개)

 

관광자원해설을 살펴보면

 

1 문제 분류 (중복 포함)

관광자원 분류(1) 26  
산업관광(1) 27
관광기본계획(1) 28
관광지 (10) 29(지역별) 30(세계지질공원) 31(언택트) 32(둘레길) 34(온천,해수욕장,동굴) 35(안보) 36(축제지역) 37(국립공원) 46(위인생가) 50(전통마을)
세계지질공원(1) 30
최신이슈(3) 30(2020년) 31(2020년) 40(2019년)
컨벤션센터(1) 33
안보관광(1) 35
축제(1) 36
국립공원(1) 37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1) 38
국보(2) 38 39(지정기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2) 40 50
전통놀이(2) 41 49
무형문화재(3) 41 48 49
미술자원(1) 42
건축물(6) 43(성) 44(5대궁) 45(불교) 46(생가) 48(단청) 50(조선시대 가옥)
불교자원(2) 45(건축물) 47(의식법구)
보물(1) 46

2 최신이슈관련 문제가 3문제 나왔습니다. 관광이슈에 대해 공부를 꼭 해두셔야 합니다.
3 관광지 관련 10문제 나왔는데 골고루 나왔으니 잘 체크해주시면 됩니다.

 

그러면 다음시간부터 관광국사 첫번째 시간부터 여러분을 찾아 뵙도록 하겠습니다!

 

이상 AcousJin이었습니다.

posted by MiZon
:

관광통역안내사 관광학개론 46~50번

안녕하세요 AcousJin 입니다.

 

드디어 관광통역안내사 필기시험 리뷰~! 대망의 마지막 시간이 다가왔습니다.

 

관광학개론 46~50번 문제를 만나볼텐데요 개인적으로 블로그를 다시 시작하면서
이렇게 한 시리즈를 마무리 했다는것에 너무 뿌듯 합니다!

 

자 그러면 설레는 마음을 가지고 마지막 남은 5문제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한국저작권위원회 가이드 라인에 따라 자세한 문제와 보기확인은 아래 문제확인하기 링크를 통해 확인하실수 있습니다. (확인방법 : 문제확인하러가기 클릭 -> 2019년도 관광통역안내사 시험문제지(2교시) 클릭 ->  2019년도 관광통역안내사 1차 2교시 다운로드 A형 다운로드 (PDF뷰어가 있어야 합니다!))

 

문제확인하러가기

 

46. 관광매체 중 공간적 매체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은?

 

정답 ①

 

관광매체는 크게 공간적, 시간적, 기능적 매체로 나뉘는데

보기에 나온 매체들을 확인해보면

교통시설은 공간적 매체
관광객이용시설들은 시간적 매체
숙박시설은 시간적 매체
관광기념품 판매업자는 기능적 매체로 나뉩니다.

정답 나오죠? ㅎㅎ

 

47. 관광의 사회적 측면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아닌 것은?

 

정답 ③

 

이 문제 역시 앞서 풀어본 42번과 43번과 같이 착한말 고르는 문제입니다.

국제친선, 직업구조 다양화, 국민후생복지 이런말들 다 착한말인데
전시효과 이거는... 단순히 보여지는 효과라는 뜻으로 긍정적인 표현이 아니라서 긍정적인 효과가 아닙니다.

 

48. 관광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요인으로 옳은 것은?

 

정답 ②

 

관광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환경적 요인과 개인적 요인입니다.


환경적 요인은 사회계층, 문화, 준거집단, 상황적요인 등을 말하고
개인적 요인은 지각, 학습, 태도, 성격, 라이프스타일, 동기, 지식등을 말합니다.

 

보기에서 보면 개인적 요인은 학습만 있다는것을 확인할수 있네요.
참고로 ①번 가족은 준거집단에 속합니다.

 

49. 2018년에 UNESCO 세계유산에 등재된 한국의 산사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정답 ④

 

사실 이 문제는 관광자원해설에서 나올법한 문제인데 어찌된 영문인지 관광학개론에 나타났네요 ㅋㅋㅋ
그리고 2019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서원이 안나오고
작년에 지정된 산사, 한국의 산지승원이 나온것도 개인적으로 놀랐습니다.

 

2018년에 지정된 산사, 한국의 산지승원 7개의 사찰 목록들을 보시면

 

경상남도 양산시에 소재한 통도사
경상북도 영주시에 소재한 부석사
경상북도 안동시에 소재한 봉정사
충청북도 보은군에 소재한 법주사
충청남도 공주시에 소재한 마곡사
전라남도 순천시에 소재한 선암사
전라남도 해남군에 소재한 대흥사 입니다.

 

청량사는 안보이죠?

 

50. 국내 전시․컨벤션센터와 지역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정답 ①

 

드디어 50번 문제네요 컨벤션센터 물어보는 문제인데요 대구는 EXCO입니다.

그 외 주요 도시 컨벤션 센터는 서울은 COEX 제주는 ICC JEJU 인천은 송도컨벤시아
광주는 김대중컨벤션센터 대전은 대전컨벤션센트 등이 있습니다.

이제 모든 문제를 만나봤습니다.


관광학개론은 관광자원해설과 관광법규에서 나올법한문제들도 나오고
문제별 난이도 격차가 다른 과목에 비해서 크다는 느낌이 듭니다.

이번 시험 통계를 보니까 작년에 비해서는 합격률이 높아졌습니다.
모두 열심히 공부한 덕인듯 하네요.


다시한번 필기 합격하신분들 진심으로 축하드리고 면접 공부 파이팅입니다.

 

그리고 지금부터 준비하시는 분들 막막해 보이지만 여유있게 차근차근 준비하시면
충분히 합격선은 넘으실수 있습니다. 그러니 파이팅입니다!

 

이제까지 봐주신 모든분들께 감사하고 다음에는 어떤 시리즈로 여러분들께 찾아올지
기대해주시기 바랍니다!

이상 AcousJin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posted by MiZon
:

관광통역안내사 관광학개론 41~45번

안녕하세요 AcousJin 입니다.

 

관광학개론 문제들을 계속 만나보고 있습니다.

 

필기시험 공식결과도 나오고 이제 면접만 열심히 준비하면 되겠네요 ㅎㅎ

 

자! 관광학개론 41~45번 문제 만나보도록 하겠습니다!

 

* 한국저작권위원회 가이드 라인에 따라 자세한 문제와 보기확인은 아래 문제확인하기 링크를 통해 확인하실수 있습니다. (확인방법 : 문제확인하러가기 클릭 -> 2019년도 관광통역안내사 시험문제지(2교시) 클릭 ->  2019년도 관광통역안내사 1차 2교시 다운로드 A형 다운로드 (PDF뷰어가 있어야 합니다!))

 

문제확인하러가기

 

41. 연대별 관광정책으로 옳은 것은?

 

정답 ④

 

국제관광공사법은 1962년에 제정되었고
관광진흥개발기금법은 1972년에 제정되었습니다.
관광경찰은 2013년에 출범했고
제2차 관광진흥 5개년 계획는 2004~2008년에 진행되었으므로 정답나오죠?

 

42. 국제관광의 의의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정답 ②

 

위 문제 지식을 떠나 착한말 고르면 되는 유형의 문제입니다.

국제관광의 의의 해놓았다고 해서 대놓고 부정적인 말을 답으로 요구하진 않겠죠

ㄴ 문화교류가 와해 되기는커녕 오히려 증대되구요,
ㄷ 외화가득률은 축소가 아니라 증가 확대 됩니다.
ㄴ,ㄷ 소거하면 정답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참고로 외화가득률은 상품수출가액에서 수입원자재 가액을 뺀 금액입니다.

저는 그냥 쉽게 외화 순 소득으로 이해가 되네요 

 

43. 세계관광기구(UNWTO)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정답 ④

 

이번 문제도 마찬가지입니다.
이래저래 다 떠나서 ④번 경제적 비우호를 위해서 세계관광기구가 조직되었을리는 없을테죠? ㅎㅎ

 

44. 근접국가군 상호 간 관광진흥 개발을 위한 국제관광기구로 옳은 것은?

 

정답 ②

 

ASTA는 미주 여행업자 협회로 미국 한정이구요
ATMA는 아시아관광마케팅협회로 아시아국가들의 개발을 위한 기구 입니다.
IATA는 국제 항공 운송 협회
ISTA는 국제 안전 운송 협회

 

45. 마케팅 시장세분화의 기준 중 인구통계적 세부 변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정답 ③

 

마케팅 시장세분화 기준 중 인구통계적 세부 변수는
연령, 성별, 가족규모, 가족생활주기, 소득, 직업, 종교 그리고 교육수준입니다.

 

그런데 라이프스타일은 없네요 ㅎㅎ

라이프스타일은 심리분석적 특성에 해당됩니다.

 

45번 문제까지 만나봤는데요 드디어 관광학개론도 다음시간이 마지막시간입니다.
이말인 즉슨 필기시험 리뷰도 마지막이라는 얘기가 되는셈이죠? ㅎㅎ

 

2019년 관광통역안내사 필기시험 마지막 5문제는 과연 어떨지 다음시간에 확인해보겠습니다


그러면 관광학개론 46~50번 문제에서 찾아뵙겠습니다.

이상 AcousJin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posted by MiZon
:

관광통역안내사 관광학개론 36~40번

 

안녕하세요 AcousJin 입니다. 관광학개론 문제리뷰 세번째 시간인데요.

 

이번시간은 36~40번 문제를 만나보겠습니다.

어떤 예상치 못한 문제들이 나올지 한번 살펴보시죠 ㅎㅎ

 

* 한국저작권위원회 가이드 라인에 따라 자세한 문제와 보기확인은 아래 문제확인하기 링크를 통해 확인하실수 있습니다. (확인방법 : 문제확인하러가기 클릭 -> 2019년도 관광통역안내사 시험문제지(2교시) 클릭 ->  2019년도 관광통역안내사 1차 2교시 다운로드 A형 다운로드 (PDF뷰어가 있어야 합니다!))

 

문제확인하러가기

 

36. 관광진흥법상 관광숙박업 분류 중 호텔업의 종류가 아닌 것은?

 

정답 ③

 

이 문제는 관광법규에나 나올법한 문제인데 왜 관광학개론에서 나왔는지 이것 참..
그런데 관광학개론에서도 관광법규에 나올법한 문제들이 종종 나옵니다.


그러니 당황하지 마시고 그냥 그러려니 하고 푸시는게 부담이 없습니다 ㅋㅋㅋ

 

자 위 문제는 호텔업 종류에 관한 문제인데요 호텔업 목록을 보시면

 

관광호텔업
수상관광호텔업
한국전통호텔업
가족호텔업
호스텔업
소형호텔업
의료관광호텔업

 

입니다.

 

휴양콘도미니엄업은 관광숙박업의 또 다른 분류입니다.


관광숙박업이 관광진흥법 제3조 제2항에 따라 호텔업과 휴양콘도미니엄업으로 나뉘기 때문입니다.

 

더더욱 쉽게 생각하고 싶으시다면 호텔업은 호스텔업 제외하고 전부 호텔이라는 단어가 들어가면
호텔업이라고 생각하시면 되고, 더구나 호스텔업도 호(스)텔업 이렇게 기억하시면 호텔업의 범주에 좀더 어울리는 느낌을 받으실수 있습니다.

 

37.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여행업의 산업적 특성으로 옳은 것은?

 

정답 ②

 

금융위기, 전쟁, 허리케인, 보건, 위생 이런 키워드들을 보면 계절과는 거리가 멀고 허리케인이 노동과 연관이 있는건 아닌듯 합니다.


그러면 남은건 환경민감성과 종합산업인데 경제적환경인 금융위기 국제적환경인 전쟁, 기후적환경인 허리케인, 의학적환경인 보건.위생등 다양한 환경에 영향을 받는다는 것은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의미에 가까울수 있죠

 

38. A는 국제회의업 중 국제회의기획업을 경영하려고 한다. 국제회의기획업의 등록기준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정답 ③

 

이 문제는 반례를 들어서 풀어보도록하겠습니다.


국제회의산업 육성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3조 제2항 제1호와 제3호를 보면 ㄱ과 ㄹ은 전문회의시설의 요건이지 국제회의기획업의 등록기준은 아닙니다. 소거하면 정답이 나오죠? ㅎㅎ

 

39. 한국 국적과 국경을 기준으로 국제관광의 분류가 옳은 것은?

 

정답 ②

 

Inbound Tourism는 외국인이 우리나라에 들어와서(in) 관광하는것을 얘기하구요
Outbound Tourism는 우리나라사람이 외국으로 나가서(out) 관광하는것을 얘기합니다.

정답 바로 확인 가능하시죠?

 

40. 1960년대 관광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정답 ①

 

각 보기별 연도를 확인해보면

 

관광기본법 제정은 1975년 12월 31일에 처음으로 제정됩니다. 바로 정답 나오네요 ㅎㅎ

국제관광공사 설립은 1962년 6월 26일에 설립되며 이는 지금의 한국관광공사입니다.
관광통역안내원 시험제도는 1962년부터 시행되었습니다.
지리산 국립공원은 1967년 12월 29일 최초로 국립공원에 지정됩니다.

 

이번시간에도 관광학개론 문제들을 확인해봤는데요

10월 30일 바로 내일! 필기시험 공식결과가 나옵니다. 뭔가 좀 더 면접시험에 가까워지는 느낌이 드는데요
저를 포함해서 면접준비하는 모든 수험생들 좋은 결과가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그러면 관광학개론 41~45번 문제에서 찾아뵙겠습니다.

이상 AcousJin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posted by MiZon
:

 

관광통역안내사 관광학개론 31~35번

 

안녕하세요 AcousJin 입니다.


이번시간은 관광학개론 두번째 시간입니다.

 

31~35번 문제를 만나볼텐데요


관광관련내용중 어떤게 나와도 이상할게 없는게 관광학개론 문제들이라 달리생각하면 관광상식 싸움인것 같기도 합니다.


만나보시죠

 

* 한국저작권위원회 가이드 라인에 따라 자세한 문제와 보기확인은 아래 문제확인하기 링크를 통해 확인하실수 있습니다.(확인방법 : 문제확인하러가기 클릭 -> 2019년도 관광통역안내사 시험문제지(2교시) 클릭 ->  2019년도 관광통역안내사 1차 2교시 다운로드 A형 다운로드 (PDF뷰어가 있어야 합니다!))

 

문제확인하러가기

 

31. 특정 국가의 출입국 절차를 위해 승객의 관련 정보를 사전에 통보하는 입국심사 제도는?

 

정답 ①

 

각 보기별 의미를 확인해보면

 

①번 APIS는 사전입국심사제도
②번 ARNK는 항공편 이외의 운송수단으로 여행하는 구간을 나타내구요
③번 ETAS는 전자비자발행시스템
④번 WATA는 세계여행업자협회입니다.

 

출입국 관련내용은 APIS가 가깝죠?

 

32. 제주항공, 진에어, 이스타 등과 같은 저비용 항공사의 운영형태나 특징에 관한 설명
으로 옳은 것은?

 

정답 ③

 

주로 장거리 노선 운항하고 중심공항 지정후 중소도시 연결하는 방식(허브 앤 스포크)으로 운영하고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것은 일반 항공사(FSC)입니다.

 

33. 우리나라의 의료관광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정답 ①

 

초창기 의료관광은 검진,치료,요양,성형수술 등 의료 및 미용관련 목적으로만 의미하였으나,
점점 의료관광의 기조가 검진 온 김에, 치료 온 김에 등등 겸사겸사 관광명소도 들르고 문화체험도 하는 등
부가적인 일정도 포함하고 있습니다.

 

그러다보니 체류기간도 길어지고 관광비용도 저렴하지 않습니다. 애초부터 치료비가 만만치 않을테니 말이죠 ㅎㅎ

 

34. 국내 크루즈 산업의 발전방안으로 옳은 것은?

 

정답 ③

 

이 문제는 착한말 고르면 되는 문제인데요


①번은 상품의 가치를 높이는건 좋은데 특정계층만 이용하게 하는건 좀.. ㅋㅋ
②번은 수요에 상관없이 운영한다면 비수기때는 고객이 없어서 문제고 성수기때는 고객이 많아서 문제가 될 수있습니다.
차라리 성수기, 비성수기 탄력적으로 운영하는것이 더 발전적이라 생각됩니다.
④번은 수속절차를 까다롭게하는건 테러방지에는 도움이 될지 모르겠으나 산업 자체가 발전하기에는 무리가 있지 않을까요?

 

35. 여행상품 가격결정요소 중 상품가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은?

 

정답 ②

 

출발인원과 교통수단 및 등급, 식사내용과 횟수는 여행중에 일어나는 일이므로 어떤 선택을 하느냐에 따라 투어비용에 차이가 있을 수 있죠.


다만 광고.선전비는 여행중에 발생되는 비용은 아니기 때문에 직접적인 영향은 아니라고 볼 수 있습니다.

 

퀴즈프로그램을 보다보면 평소에는 문제가 나오면 답을 술술 떠올릴수 있는데  막상 내가 참가자가 되면 머리가 멍해져서 아무 답도 안떠오르는건 왜일지.. 살짝 뒤로 물러나서 문제를 보면 답이 어느정도 보이는데 오히려 시험장에서 가까이 문제를 보면 답이 잘 보이지 않더군요


어느정도 여유가 생겨서 문제가 술술 풀리는 그날이 후딱 왔으면 좋겠습니다.

 

그러면 관광학개론 36~40번 문제에서 찾아뵙겠습니다.

이상 AcousJin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posted by MiZon
: